react
-
[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] 6. 간단한 어플을 실제로 배포해보기(개발 환경 부분)DevOps/Docker 2022. 5. 30. 14:56
이번 시간부터는 간단한 애플리케이션를 배포하면서 도커를 배워보자. ✔️ 리액트 환경 세팅 리액트를 사용하려면 node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. $ npx create-react-app ./ node 설치 후, 위의 명령어를 통해 리액트 앱을 위한 환경을 세팅한다. 명령어가 실행되면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생성된다. ✔️ 도커로 리액트 앱 실행 이제 도커를 통해 리액트 앱을 실행해보자. 도커로 리액트 앱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. 1️⃣ 도커 파일 생성 및 빌드 다음과 같이 도커 파일을 생성하자. Dockerfile.dev FROM node:alpine WORKDIR /usr/src/app COPY package.json ./ RUN npm install COPY ./ ./ CM..
-
React Component - Class, FunctionFront-End/React 2021. 8. 3. 19:28
React의 특징은 Component 단위로 코드를 쪼개어 UI를 구성한다는 점이다. 그렇다면 Component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? React에서 Component를 만드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. 바로 Class 혹은 Function을 만드는 것이다. React에서는 Class와 Function 2가지 Component가 존재한다. 그렇다면 두 Component의 차이는 무엇일까? 아래의 예시를 보자. Class import React, { Component } from 'react'; class App extends Component { constructor(props){ super(props); this.state = {fruit: 'apple'}; } render(...); } Functio..